JeongJin's Blog
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7 본문

1일1공부/컴퓨터공학
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7

정진킴 2023. 9. 27. 11:57

1. 네트워크 구조

  • star
    • 각 호스트가 허브라고 불리는 중앙 전송 제어장치와 점대점(Point-to-Point) 링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초창기 사용 형태.
  • bus 
    • 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중추 네트워크의 역할을 하는 형태
  • tree 
    • 성형의 변형으로 트리에 연결된 호스트는 허브에 연결되어 있지만 모든 장치가 중앙 전송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형태
  • ring
    • 닫힌 루트 형태로 각 호스트가 자신의 양쪽 호스트와 전용으로 점 대 점으로 연결된 형태

2. Network Layer 정리

  •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관리하며 IP 주소로 통신
  • 출발지의 IP부터 목적지의 IP까지 통신 시 중간에서 라우팅을 담당 및 처리
  • 데이터가 큰 경우 분할 및 전송 후 재조립하여 메세지 구현
  • OSI 7 Layer의 세번째 계층으로 패킷 포워딩과 네트워크 간 라우팅을 수행
  • 대표적인 장비로 라우터를 사용한다.

3. Data Link 정리

  • OSI 7 Layer 의 두번째 계층으로 인접한 노드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 제공
  • 물리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
  •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ethernet이 있으며 해당 장비로는 스위치를 사용

4. VLAN 정리

  • 물리적 구성이 아닌 논리적인 가상의 LAN을 구성하는 기술
  • 불필요한 데이터를 차단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별로 따로 관리
  • 새로운 LAN 추가 시 물리 스위치 구매 불필요

5. DHCP 정리

  • DHCP 는 동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
  • 잘못된 IP 설정으로 인해 생기는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.
  • 요청이 생길 때만 IP주소를 할당하는 것으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.

6. 동적 라우팅 정리

  • Distance Vector 기반의 방법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일어난다.
  • Link State 기반의 라우팅 방법은 이벤트 기반으로 업데이트가 일어난다.
  • Bellman-Ford 알고리즘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연결 링크의 비용과 최단 거리를 계속해서 업데이트 한다.

7. 데이터 무결성 정리

  • 엔티티 무결성은 식별자 속성 유형이 반드시 값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엔터티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지 의미
  • 속성 유형의 값이 지정된 도메인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 것을 보증한다면 도메인 무결성을 보장
  • 참조 무결성은 엔티티를 생성할 때 대상 엔티티 유형의 관계비와 선택성을 확인하여 알 수 있음

8. 데이터 모델의 정규화의 목적

  •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
  • 데이터 모델의 단순화
  • 데이터 일관성 확보

9. ANSI/SPARC의 3계층 스키마와 관계 모델의 3레벨 아키텍처의 각 요소간의 대응 관계 정리

  • 개념 스키마(Conceptual Schema) - 베이스 관계(Base Relation)
  • 내부 스키마(Internal Schema) - 스토리지 표시(Storage Representation)
  • 외부 스키마(External Schema) - 뷰(View)

10. 해싱(Hashing) 정리

  • 해싱은 키 값을 물리적 위치를 가르키는 포인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
  • 키를 사용하는 행을 단 한번의 DB I/O 로 조회 가능
  • 충돌 (Collision) 최소화를 위해 유일한 키 값 요구

'1일1공부 > 컴퓨터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8  (0) 2023.09.27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6  (0) 2023.09.20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5  (0) 2023.09.20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4  (0) 2023.09.14
컴퓨터 공학 오답정리 3  (0) 2023.09.14